연필의 키가 작아질수록 썸네일형 리스트형 소주 마십니다. "일하다가 배고픕니다. 소주 마십니다. 외롭습니다. 소주 마십니다. 힘듭니다. 소주 마십니다. 일이 남았는데 잠이 쏟아집니다. 소주 마십니다. 다칩니다. 소주로 씻어내고 소주 마십니다. 선장이 지랄합니다. 소주 마십니다. 선장 저도 마십니다. 동료와 시비 붙습니다. 소주 마시면서 화해합니다. 그러다 다시 싸우고 또 소주 마십니다. 여자 생각 간절합니다. 소주 마십니다. 고기가 잘 잡힙니다. 소주 마십니다. 고기가 안 잡힙니다. 소주 마십니다. 항구로 돌아옵니다. 소주 마십니다." 한창훈의 한겨례 21, 中에서, 내 술상 위의 자산어보 인용 그렇다면 나는, 하루가 허기집니다. 글을 씁니다. 외롭습니다. 글을 씁니다. 힘듭니다. 글을 씁니다. 이것저것 공부해야 하는데 잠이 솓아집니다. 글을 씁니다. 왜 사냐.. 더보기 [리딩] 성공의 쟁취 "나는 성공을 돈으로 살 수 없다고 믿는다. 성공은 쟁취해야 하는 것이다.." - 리딩, 알렉스 퍼거슨, 288쪽 中에서 - 나도 내 삶을, 인생을 쟁취할 것이다. 더보기 카톡 프로필의 결혼 사진을 보고서 축하한다.정말로 축하한다. 백색의 하얀 드레스가 이 순간만큼은 너를 위해 존재하는 것 같이 너무 아름답구나. 다만 아쉬운 것이 그 사진을 많이 볼 수가 없다는 것이다. 분명 여느 사람들처럼 앞으로 행복만 넘치는 사진과 영상을 가득 간직하길 바란다.결혼할 사람에 대해 아는 것은 전혀 없지만, 너가 고르고 고른 사람임을 알기에 더욱 믿음이 가는 것 같구나.행복할 때도 힘든 순간에도 너의 작은 몸을 기대어 줄 수 있는 사람이라 생각된다. 어떻게 생각해보면 내가 너무 옹졸한 것 같다. 옹졸한 것이 아니라 소심하고 용기가 없는 것이겠지. 우즈벡에 가기 전에도, 가서도, 돌아온 후에라도 너에게 연락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너무나 많았거늘. 지금도 축하의 인사를 직접 해주지 못하고 이렇게 블로그 한 귀퉁이에 올리고 있.. 더보기 창의성을 자극하는 작은 질문의 힘 우리 삶은 우리가 던지는 질문하지 않았던 질문할 생각조차 없었던 질문으로 만들어진다 - 아주 작은 반복의 힘 中 에서 주요 질문 1. 실패하지 않는 보장이 있다면 내가 달리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 => 강사나 글쓰는 작가, 일단 떠들고 말, 또는 글을 써 보여주는 것(그런 일들) 2.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지금 당장 내가 취할 수 있는 작은 행동은 무엇인가? => 매트하 하루분량 녹음하기, 그래머 인 유즈 하루 한 장 풀기, 밤에 운동하기, 야근을 적게 하기 등 3. 건강 (혹은 인간관계 또는 경력)을 조금이라도 향상 시키기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작은 일은 무엇인가? => 하루 2km 운동장 뛰기, 친구에게 연락 먼저하기, 설거지 꼭 하고 자기, 아침에 시리얼 먹기, 일찍 일어나 신문을 보기 4... 더보기 2016년 3월 중순까지 해도해도 너무한 한계가 다가와도, 그것을 뚤고 나가겠다는 생각으로 정해보았던 말 더보기 친구들에게, 우리가 늙었을 때 우리가 늙었을 때, 아니면 늙어간다고 느꼈을 때, 자식과 아내가 있지만 여전히 삶은 외로운 것이고 혼자라 느끼질 순간이 왔을 때, 우리만의 단체 카톡방에는 우리의 부모들이 그러는 것처럼 '오늘의 이야기' '힘이 되어주는 말' '누구누구의 격언' '열정을 주는 만화' 같은 것을 주고 받을 수 있겠지. 그런데 말이다. 우리가 비록 솔직히 하루하루에 일어난 일들을 시시콜콜하게 살갑게 주고 받는 성격들은 아니지만, (차라리 쌓고 쌓아서 명절날 2차까지 이어지는 술자리에서 쏟아내는 것을 더 행복하게 생각하는지도 모르겠지만 말야) 우리가 늙어서 이러한 말들을 주고 받지 않았으면 한다. 그것보다는 말이다. 몸매 좋은 연애인 사진이나 올리며 키득거리고, 낚시나 가서 잡았던 쏘가리 사진(작살로 잡은 거 말고 언젠가는 낚.. 더보기 [리딩] 실패 "나는 패배 후에 항상 더 나은 감독이 되었다. 어떤 이유든 간에, 나는 더 똑똑해졌다. 어떤 때는 내가 패배자가 아님을 입증하고 싶었고, 어떤 때에는 패배를 설욕하고 싶었다. 1993~94년 시즌 이후로는 매년 리그 우승을 하지 못하면 실패로 단정지었다. 인생의 어느 시점부터는 승리하고 싶은 열정과 욕망이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넘어서기 시작했다. 승리는 자존심의 문제가 되었다." - 알렉스 퍼거슨, 중에서 200쪽 20대를 실패로 보진 않는다. 그렇다고 성공으로 생각하지도 않는다. 아쉬울 뿐이다. 그것에서 교훈을 얻어 30를 설계해야지. 그것에서의 가르침을 종종 잊고 지내는 건 아닐까 싶다. 40대에는 성공의 30대로 기억해야 않겠는가. 더보기 [리딩 - 방해 distractons] 성공과 삶의 균형은 양립할 수 없는 상태 "나는 다른 사람들의 요구를 외면하지 못하거나 여가 시간을 다 누리면서 큰 성공을 거둔 사람들을 만나보질 못했다. 내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성공에만 집착하면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이나 영원한 행복이 따라올 것이라는 뜻이 아니라, 남들보다 더 잘하기를 열망하면서 동시에 삶의 균형을 유지하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말이다. 재능이 똑같은 두 사람이 있을 때, 최종적으로 성공을 결정짓는 기준은 어떻게 자신의 능력을 집결시킬 수 있는가가 될 것이다. - 알렉스 퍼거슨 중에서, 183쪽 - 음... 여가를 줄이고.. 아니 뭔가 하려면 제대로 하라는 말인데..ㅠㅠ 그래 합시다! 더보기 이전 1 ··· 46 47 48 49 50 51 52 ··· 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