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이카

당신의 나라는 어디입니까? 당신의 나라는 어디입니까? '황 나제즈다' 이름을 출석부에서 받았을 때의 기분은 지금도 몽롱하다. '황'은 한국의 성이요, '나제즈다'의 러시아 이름 사이에서 간극을 도저히 이해할 수도, 메울수도 없었다. 그녀의 이름을 보았을 때 느낄 수 없었던 고려인이라는 존재가 얼굴과 목소리에서 피어났다. '아, 고려인.' 우리나라가 우즈베키스탄을 떠올리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이 고려인이 아니겠는가. 고려인을 가르치지 않기를 바라고 바랬었는데 마지막 학기에 난 시험에 든 기분이었다. '황'과 '나제즈다'사이의 오랜 시간의 흐름을 넘어 한국어를 가르칠 자신이 없었기 때문이었다. 2과부터 난감함에 봉착했다. 주제가 '나라'였기 때문이다. 고려인 학생을 만났을 시 가장 염려가 되는 수업이었다. 잔인하게도 상상이 현실이 되.. 더보기
아아, 밭 가는 김태희는 갔습니다 아아, 밭 가는 김태희는 갔습니다 이쯤에서 많은 이들은 참을성의 한계를 느낄 것이다. 이놈이 언제 우즈베키스탄의 '밭 가는 김태희' 존재 여부를 확인 시켜 줄지, 타는 목마름을 느낄 것이다. 진정들 하시라. 이제 그 질문에 답변을 드릴테니! '우즈베키스탄' 하면 우리의 머리 속에는 자동 검색어로서 '장모님의 나라'와 '밭 가는 김태희'가 생성된다. 그리고 그 존재 여부 및 신성한 간증을 기대한다. 그 결과를 '광고 뒤에 공개한다' 농담치면 이제 혼날 것 같아 말씀드린다. 밭 가는 김태희, 없다는 것이다. '정말'이라 묻는다면 정답은 아니지만 거의 확실하다고 하고 싶다. '증거'를 대라하시면, 이 답변을 위해 자타가 공인하는 우즈베키스탄 최고의 한국인 지역전문가*와 토론을 거쳐 나온 것이라 말씀드린다. '.. 더보기
두껍아 두껍아 새집말고 헌집이라도 두껍아 두껍아 새집말고 헌집이라도 해외봉사활동단원은 정말 돈을 하나도 받지 않을까. 한국국제협력단 봉사단원은 그렇지 않다. 비교적 안정적인(?) 활동비, 주거비, 정착지원금을 지원받는다. 활동비는 매달 지급받는 일종의 일비이다. 정확히 기억이 나지는 않지만 월별로 약 200~300달러 정도 받은 것으로 기억이 난다. (시간이 흐르긴 흘렀나보다. 이게 기억이 안 나다니!) 주거비는 월 300달러이다. 단원 시작 시 250달러였는데 상향 조정되었다. 이 두 개의 비용은 모두 현지에서 받게 된다. 수도 단원이었기 때문에 해외사무소에서 3개월마다 수령받으러 갔다. 정착지원금은 한국에 돌아왔을 때의 정착을 위해 매달 개인 통장으로 지급되는 돈을 말한다. 2010년 당시 월 40만원이었는데 2011년부터 월 50만.. 더보기
다 사람 사는 곳 다 사람 사는 곳 여행, 미지로 향하는 것은 언제나 설렘과 두려움을 동반한다. 진부한 표현이지만 이 표현 밖에 없는 것 같다. 콩닥거리는 심장은 몸 전체에 피를 뿜어대고, 그 에너지는 전신에 공급되어 몸을 앞으로 항해하게 한다. 다만, 봉사활동은 설렘보다는 두려움이 앞섰다. 알 수 없는 그곳에서 2년 동안 살아야하였다. 알려진 정보도 없었기에 걱정은 배가 되었다. 누구는 추워서 얼어죽을 수도 있을 것이라 하였고, 생필품이 거의 없기 때문에 모두 싸가야 한다고 하였다. 이민 가방의 제한 무게는 25kg, 이 안에 무엇을 넣어야 할까가 봉사단원들의 지상 과제였다. 선배 단원과의 연락은 마치 구원을 받은 느낌이었고, 그들의 조언은 바야흐로 복음이었다. 걱정되는 것이 한 둘 아니었지만 한국에서 해결될 문제랴. .. 더보기